한국 尹 집권 이후 강화된 '한·미·일 vs 북·중·러' 대립 구도 허물려는 속내
작년 12월14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가결되자 중국 언론들은 일제히 관련 소식을 보도했다. 관영 신화통신은 중문·영문으로 서울발 긴급뉴스를 타전했고, 국영 CCTV 뉴스채널은 정규 방송을 중단하고 생중계했다. 한국 국회방송에서 실시간 중계하는 영상을 재전송한 OTT 방송엔 동시 접속자가 10여만 명이나 몰렸다. 중국 최대 검색 사이트인 바이두에서는 '탄핵안 통과'가 검색어 1위에 올랐고, 중국판 엑스(X)인 웨이보에서도 '윤석열' '탄핵' '직무정지' 등이 검색어 상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령을 선포한 직후부터 한국 상황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중국 언론은 계엄령 내용을 자세히 보도했다. 또 이에 맞서 국회로 집결한 국회의원, 계엄 해제 요구결의안 가결 등을 실시간으로 전했다. 이런 모습은 이례적이다. 국민이 직접 투표해 선출한 대통령이 탄핵당하는 상황은 중국에서는 상상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옆 나라인 한국에서 벌어지는 일이라 신중해야 할 사안이었다.
중국은 지난해 11월 일본에 대한 일방적 비자 면제도 발표했다. 격화될 미·중 갈등에 대비해 우군을 확보하려는 전략은 시 주석의 2025년 신년사에서도 드러났다. 시 주석은 "(중국이)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단결과 협력에서 중추적 역할을 했다"고 했다.
여기서 글로벌 사우스는 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과 개도국을 통칭한다. 과거에는 식민지 경험을 공유했던 신흥국과 개도국이 단합해 선진국에 대응하자는 목적으로 쓰였다. 그렇기에 금세기 들어 중국은 글로벌 사우스를 내세우지 않았다. 하지만 중국이 주도하는 신흥 경제국 연합체인 브릭스(BRICS)를 확대하면서 글로벌 사우스의 연대를 부쩍 강조하고 있다. 시 주석의 신년사에 등장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따라서 탄핵 정국으로 윤석열 체제가 해제되는 새해에는 중국의 대한국 구애 공세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